1. 시작
그동안 많이 사용했으면서도 왜 정리하지 않았을까 싶은 @SpringBootTest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 마침 공식 문서 에서 궁금했던 부분을 설명해주고 있어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았다.
2. spring-boot-starter-test 모듈
스프링 부트는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모듈을 통해 제공한다. 대표적인 모듈로 spring-boot-starter-test가 있고 대부분 이 모듈을 사용한다. spring-boot-starter-test에는 Spring Boot test 모듈, JUnit Jupiter, AssertJ, Hamcrest, 그리고 Mockito 등의 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되어 있다.
2.1. Supported Dependencies
spring-boot-starter-test가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
- JUnit 5: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단위 테스트를 위한 사실상의 표준 프레임워크
- Spring Test & Spring Boot Test: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유틸리티와 통합 테스트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
- AssertJ: assertion 라이브러리
- Hamcrest: Matchers 라이브러리
- Mockito: 자바 Mocking 프레임워크
- JSONassert: JSON용 assertion 라이브러리
- JsonPath: JSON용 XPath
대부분 이들 기능을 사용해 테스트를 작성하고 경우에 따라 필요한 종속성을 추가해 테스트 한다. JUnit 4를 사용하면 junit-vintage-engine 의존성 을 추가하여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.
3. @SpringBootTest
spring-boot-test 모듈에 포함된 기능 중에는 @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이 있다. @SpringBootTest은 스프링 부트 기반의 테스트를 실행할 때 많은 편의를 제공한다.
대표적으로 @SpringBootTest을 사용하면
- main 패키지에 정의된 기본 구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. -> TestConfiguration 참고
- 기본 구성을 원치 않을 경우 테스트 구성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. -> TestConfiguration 참고
- 테스트 환경에 필요한 스프링 빈을 전체 혹은 일부만 등록할 수 있다. -> Classes 참고
- 테스트 환경 프로퍼티를 추가 또는 재정의할 수 있다. -> Properties 참고
- 정의한 포트 또는 임의의 포트에서 원하는 환경으로 웹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. -> WebEnvironment 참고
- 애플리케이션 인수를 정의할 수 있다. -> Args 참고
주의할 점도 있다.
- JUnit 4 테스트는 @RunWith(SpringRunner.class)를 추가해야만 어노테이션이 작동한다. 그렇지 않으면 어노테이션이 무시된다.
- JUnit 5 테스트는 @ExtendWith(SpringExtension.class)이 이미 어노테이션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.
3.1. TestConfiguration
@SpringBootTest 테스트는 특정 구성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구성을 사용한다. 지정된 구성이 없을 때 검색 알고리즘이 @SpringBootApplication 또는 @SpringBootConfiguration이 달린 클래스를 찾고 이들로부터 기본 구성을 얻는다. 따라서 기본 구성을 얻기 위해 별도의 @ContextConfiguration 또는 중첩된 @Configuration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 (이는 @xxxTest 어노테이션 모두 마찬가지다.)
@TestConfiguration은 기본 구성을 커스터마이징할 때 사용한다. 주로 특정 빈을 추가하여 테스트 환경을 별도로 구성할 때 사용한다. 직접 정의한 테스트 구성을 테스트에 포함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.
[1] @Import에 직접 @TestConfiguration 클래스 지정
// @TestConfiguration이 달린 최상위 클래스에 구성된 빈은 컴포넌트 스캔 과정에서 선택되지 않는다.
// 따라서 테스트 클래스에 @TestConfiguration 클래스를 명시적으로 등록해야 한다.
@TestConfiguration
public class MyTestConfiguration {
@Bean
DataSource createDataSource() {
//
}
}
// 예시
@SpringBootTest
@Import(MyTestConfiguration.class) // @TestConfiguration 클래스를 직접 등록
public class MyTests {
@Autowired
DataSource datasource;
@Test
void exampleTest() {
// ...
}
}
[2] static 중첩 클래스 사용
@TestConfiguration 또는 @Configuration이 달린 클래스가 테스트 클래스 내의 정적 중첩 클래스인 경우 구성이 자동 등록된다. 둘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.
- 중첩된 @Configuration 클래스의 경우 기본 구성을 “제외”하고 지정된 구성이 이를 “대신”한다.
- 중첩된 @TestConfiguration 클래스의 경우 기본 구성에 “추가”로 구성이 등록된다. (“재정의”도 가능)
@SpringBootTest
public class MyTests {
@Autowired
DataSource datasource;
//tests
@TestConfiguration
static class MyTestConfiguration {
@Bean
DataSource createDataSource() {
//
}
}
}
@TestConfiguration의 가장 좋은 점은 해당 클래스의 구성이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이다. 이들 구성은 @Import 어노테이션 또는 정적 중첩 클래스를 사용하여 요구사항이 있을 때만 반영할 수 있다.
한편, 스프링 테스트 프레임워크는 테스트 간에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캐싱한다. 따라서 테스트 간 동일한 구성을 공유하고 있다면 컨텍스트가 로딩되는 프로세스는 한 번 실행된다.
하지만 일부 테스트에서 @MockBean, @SpyBean을 사용하면 컨텍스트가 오염되어 컨텍스트가 새로 생성되고, 새로 캐시된다. 이로 인해 성능저하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되도록 공통 컨텍스트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.
3.2. Classes
@SpringBootTest는 classes 속성을 사용하여 테스트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등록할 빈 클래스들을 지정할 수 있다. classes 속성에 @Configuration 클래스가 있으면 지정한 Configuration 클래스 내부의 빈이 모두 등록된다. classes 속성을 지정하지 않으면 @SpringBootApplication이 감지하는 모든 빈이 등록된다. (엄밀히 말하면 @SpringBootApplication이 자동 감지하기 전에 중첩된 @Configuration을 먼저 찾는다.)
@Configuration
public class MyTestConfiguration {
@Bean
DataSource createDataSource() {
//
}
}
@SpringBootTest(
classes = {
MyTestService.class,
MyTestConfiguration.class
}
)
public class MyTests {
@Autowired
private MyTestService myTestService;
@Autowired
private DataSource dataSource; // MyTestConfiguration 에서 생성하는 빈
}
3.3. Properties
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클래스 경로에 있는 application.properties
또는 application.yml
속성을 사용한다. 테스트 때만 특정 속성을 변경하려면
@SpringBootTest의 properties 속성을 사용하면 된다. @SpringBootTest(properties = …) 에 지정된 속성은
테스트가 실행되기 전에 테스트 환경에 반영된다. 속성은 {key=value} 의 형태로 추가한다.
@SpringBootTest(
properties = {
"app.example.property1=value1",
"app.example.property2=value2",
}
)
public class MyTests {
...
}
3.4. WebEnvironment
@SpringBootTest의 webEnvironment 속성으로 테스트 웹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. 설정 값에 따라 다양한 환경을 지원한다.
- MOCK (default)
- WebApplicationContext을 로드하고 Mock 웹 환경을 제공한다. 임베디드(내장) 서버는 실행되지 않는다. classpath에서 웹 환경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웹이 아닌(non-web) 일반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. MockMvc 기반 테스트에서 @AutoConfigureMockMvc 또는 @AutoConfigureWebTestClient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- RANDOM_PORT: WebServer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고 실제 웹 환경을 제공한다. 내장 서버를 시작하고 임의의 포트에서 수신 대기한다.
- DEFINED_PORT: WebServer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고 실제 웹 환경을 제공한다. 내장 서버를 시작하고 ( application.properties에서) 정의된 포트 또는 기본 포트 8080에서 수신 대기한다.
- NONE: SpringApplication을 사용하여 ApplicationContext를 로드하지만 (Mock 또는 기타) 웹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다.
// 예시
@SpringBootTest(webEnvironment = WebEnvironment.RANDOM_PORT)
class MyRandomPortWebTestClientTests {
@Test
void exampleTest() {
// ...
}
}
테스트가 @Transactional이면 기본적으로 각 테스트 메서드가 끝날 때 트랜잭션을 롤백한다. 그러나 RANDOM_PORT 또는 DEFINED_PORT와 함께 사용하면 실제 서블릿 환경을 제공하므로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별도의 스레드에서 실행되고, 이에 따라 별도의 트랜잭션이 발생한다. 이 경우 서버에서 시작된 트랜잭션은 롤백되지 않는다.
3.5. Args
애플리케이션에 인수가 필요한 경우 @SpringBootTest의 args 속성을 사용하여 인수를 제공할 수 있다.
@SpringBootTest(args = "--app.test=one")
class MyApplicationArgumentTests {
@Test
void applicationArgumentsPopulated(@Autowired ApplicationArguments args) {
assertThat(args.getOptionNames()).containsOnly("app.test");
assertThat(args.getOptionValues("app.test")).containsOnly("one");
}
}